청년도약계좌, 고금리에도 해지율 급증 & 중도 해지 방법과 주의사항!

청년도약계좌 해지방법
청년도약계좌, 고금리에도 해지율 급증… 해지 방법과 주의사항!


📌 청년도약계좌란?

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~34세 청년이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하면 정부가 이에 비례해 기여금을 지급하는 5년 만기 정책금융상품입니다. 비과세 혜택과 정부 지원금을 포함한 실질 수익률은 연 9%대로 알려져 출시 초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.




  • 가입 대상: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청년

  • 납입 한도: 월 최대 70만 원
  • 혜택: 비과세, 정부 기여금, 고금리(실질 연 9%대)
  • 만기: 5년

  • 3년 이상 유지시 혜택 강화: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 유지(60%)



구글 플레이 앱 바로가기 




애플 스토어 앱 바로가기




📉 해지율 급증 현황


국회예산정책처 자료에 따르면,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율은 2023년 8.2%에서 2024년 1~4월 기준 15.3%로 급상승했습니다. 누적 가입자 196만 6천 명 중 30만 명 이상이 중도 해지한 셈입니다.



중도 해지 주요 사유


  • 실업 또는 소득 감소 (39.0%)
  • 긴급 자금 필요 (33.3%)
  • 생활비 상승 (49.9%가 재무적 어려움의 원인으로 지목)


전문가들은 취업 불안정과 고물가로 인한 재정 압박 때문에,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들은 제도 유지 유인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합니다.



⚠ 해지 전 꼭 알아야 할 점


  • 중도 해지정부 기여금과 이자는 일부 또는 전액 반환해야 할 수 있음

  • 비과세 혜택도 소멸
  • 부분 인출 제도: 가입 2년 경과 시, 납입액의 최대 40% 범위 내에서 1회 부분 인출 가능 (2024년 7월부터 시행)

  • 단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면 비과세와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특별중도해지사유: 생애 최초 주택구입, 가입자의 퇴직, 사업장의 폐업, 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 이주, 천재 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, 혼인, 출산 등입니다.

  • 만기 해지: 

     - 5년 만기를 채운 경우 모든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    - 만기 시에는 은행에 따라 적용되는 이자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.

  • 부분인출서비스: 

      - 2년 이상 유지한 경우, 납입원금의 40%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가능



🛠 청년도약계좌 해지 방법


  1. 계좌를 개설한 취급 은행의 영업점을 방문하거나, 해당 은행의 모바일 앱·인터넷 뱅킹 접속

  1. 본인 인증(신분증 필수) 후 중도 해지 신청

  1. 정부 기여금 반환액 및 해지 시 지급 이자 확인

  1. 환급금 수령 계좌 지정 후 해지 완료


💡 은행별 절차나 준비 서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, 반드시 사전 문의를 권장합니다.





📅 추가 정보


청년도약계좌 관련 자세한 정보는 각 은행 고객센터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(국번없이 1397)를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.








다음 이전